15% 관세 합의, 한미 FTA 실익은 사라졌나?
“0%에서 15%로”… 투자자인 내가 본 한‧미 관세 타협의 민낯― FTA는 살아 있지만, 시장은 그렇게 받아들이지 않았다7월 31일 밤, 속보가 떴다.“미국이 한국산 제품에 15% 관세를 부과한다. 대신 한국은 대미 투자 3,500억 달러와 에너지 구매를 약속한다.”뉴스는 그렇게 시작됐고, 이튿날 내 보유 종목 중자동차 부품주, 전자기기주, 기계·소재주는 죄다 약세로 열렸다.시장 반응은 분명했다.“FTA는 살아있지만, 실익은 날아갔다”는 해석이 먼저였다.법은 그대로인데 왜 주가는 흔들리나사실, 법적으로 보면 한미 FTA 조항이 폐기된 것도 아니고,협정문이 바뀌었다는 뉴스도 없다.그런데도 왜 시장은 ‘협정이 무력화됐다’고 받아들일까?그 이유는 간단하다.FTA의 실질적 핵심은 ‘무관세’라는 실익이고,그 혜..
카테고리 없음
2025. 8. 2.
코인 수익은 나는데 왜 늘 불안할까? 자산 배분이 빠졌기 때문입니다
단기 수익은 냈지만 장기적으로 흔들리는 투자. 그 이유는 구조가 없기 때문입니다. BTC/ETH 중심의 자산 배분과 리밸런싱 루틴, 위성 종목 체크리스트까지 실전 전략을 제공합니다. 한동안은 수익이 꽤 괜찮았습니다.비트코인이 올라가면 이더리움을 사고, 알트코인에 관심이 쏠리면 저도 따라 들어갔죠.그러다 보면 10%, 30%, 많게는 2배 넘는 수익도 나왔습니다.그런데 이상하게도, 불안감은 줄지 않았습니다.수익은 있는데, ‘이 돈이 내 것이 맞을까?’라는 생각이 자꾸 들었습니다.언제 팔아야 하는지, 지금 넣는 게 맞는 건지 확신이 없었던 거죠.거래 경험은 충분한데… 왜 구조가 없을까요?코인 투자를 시작한 지 3년이 넘었습니다.이더리움은 꽤 초기에 매수했고, 폴리곤(MATIC), 루나, 솔라나, 아발란체도..
카테고리 없음
2025. 7. 30.